카테고리 없음

[직장 내 괴롭힘 신고 방법] 당하고만 있지 마세요! 현명하게 대처하는 법과 노동조합의 실질적 도움까지

쀼남 2025. 4. 30. 06:43
반응형


요즘 뉴스나 커뮤니티에서도 종종 보이는 ‘직장 내 괴롭힘’ 문제.
막상 당하면 너무나 당황스럽고,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몰라 고통 속에 참는 분들이 많습니다.
하지만! 더 이상은 참지 마세요.
직장 내 괴롭힘은 명백한 불법 행위이며, 법적 보호 대상입니다.
오늘은 직장 내 괴롭힘의 정의부터 대처법, 그리고 노동조합의 실제적인 도움 사례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


직장 내 괴롭힘이란?

2021년 개정 근로기준법 제76조의2에 따르면,
“직장에서의 지위나 관계의 우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는 신체적·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”가 직장 내 괴롭힘입니다.

예를 들어…

반복적인 모욕, 욕설, 조롱

과도한 업무 배제 또는 몰아주기

점심시간 제외, 회식 불참 압박

사적인 심부름 강요

휴가 사용 방해 등


이 모든 것이 괴롭힘에 해당합니다.




직장 내 괴롭힘, 이렇게 대처하세요

1. 증거를 반드시 확보하세요

이메일, 문자, 카톡 대화, 녹취, 업무지시문 등

날짜, 시간, 장소, 상황을 기록한 괴롭힘 일지도 효과적



2. 사내 신고 절차 활용

인사팀, 감사실 등 정식 경로로 신고 가능

익명제보 가능한 시스템이 있다면 적극 활용



3. 노동부 신고

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1350) 또는 직장 내 괴롭힘 익명 신고센터 이용

사업주는 사실 확인 후 10일 이내 조치 의무가 있음



4. 노동조합 도움받기

노조는 법적·심리적 보호막 역할

내부 제보보다 훨씬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응 가능





노동조합이 왜 중요한가요?

혼자서 직장 내 괴롭힘을 해결하려고 하면 매우 어렵습니다.
하지만 노동조합이 개입하면 상황이 달라집니다.

노조는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:

가해자 조사 요청 및 중재 활동

법률 상담 및 노무사 연계

사측과의 단체 교섭 요청

2차 피해 방지 대책 마련

피해자 보호 및 업무 조정 지원


특히 노조 전임자가 있는 경우, 더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피해자의 신분을 보호하면서도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냅니다.




이런 경우, 꼭 신고하세요

"다들 이 정도는 감수해"라는 분위기

상사가 단톡방에서 비꼬거나 조롱

반복적인 회식 강요나 술잔 돌리기

육아휴직 후 복귀했더니 자리 없애기


이 모든 사례는 ‘직장 내 괴롭힘’입니다.
당신이 예민한 게 아니라, 그들이 잘못한 겁니다.




직장 내 괴롭힘 예방하는 문화 만들기

노동조합은 단지 문제 발생 시 개입하는 조직이 아닙니다.
예방교육, 사내 가이드라인 구축, 심리상담 프로그램 연결 등
직장 전체의 건강한 조직문화를 위한 활동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



마무리하며

누군가의 직장은 지옥이 아닌, 안전하고 존중받는 공간이어야 합니다.
직장 내 괴롭힘은 절대 참을 일이 아니며,
당당하게 신고하고, 노동조합과 함께 대응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혼자 싸우지 마세요.
노동조합은 당신의 가장 든든한 우군입니다.

반응형